AKS 한국학 중앙연구원

NSC_Wiki
Neccrow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8월 17일 (화) 17:21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한국학중앙연구원
(韓國學中央硏究院)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online.
대표명칭 한국학중앙연구원
한자표기 韓國學中央硏究院
영문명칭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성격 연구/교육기관
설립일 1978년 6월 22일
소재지 경기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
웹사이트 http://www.aks.ac.kr/index.do

<googlemap type="normal" zoom="15" width="100%" height="300" lat="37.3948219" lon="127.0752108">37.3948219, 127.0752108, 한국학중앙연구원
위도: 37.3948219, 경도: 127.0752108 </googlemap>


정의

한국 문화의 심층 연구 및 교육을 수행하는 정부 출연 연구 기관.

내용

설립목적

1978년 6월 한국정신문화연구원이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었다. 설립 목적은 한국 문화의 정수를 깊이 연구하여 주체적 역사관과 건전한 가치관을 정립하고, 미래 한국의 좌표와 기본 원리를 탐구하여 민족 중흥을 위한 국민정신을 드높이고 민족 문화 창달에 기여함에 두었다. 2005년 한국학중앙연구원으로 개칭하였다. 한국학 연구와 교육을 중심으로 전통과 현대의 한국문화 중심 사업을 펼치고 있으며, 차세대 한국학자 양성 및 기록문화유산의 보존과 관리, 한국학 자료 출판 및 보급 등 한국학 연구 확산을 위해 국내외 학계와 긴밀히 교류하고 있다. 또한 전문성과 대중성을 겸비한 여러 프로그램을 통해 한국학의 대중화에도 앞장서고 있다.[1]

한국학대학원 운영

교육 사업을 위해 한국학대학원을 설치하여 인문학부, 문화예술학부, 사회과학부, 국제한국학부 등의 4개 학부 15개 전공의 석사 과정과 인문학부, 문화예술학부, 사회과학부 등의 3개 학부 14개 전공의 박사 과정을 두고 한국학의 내실화와 세계화에 기여할 한국학자를 양성하고 있다. 1980년부터 30여 년간 소수 정예의 연구 중심 교육을 실시하여 왔으며, 졸업생들은 학문적 우수성을 인정받아 국내 및 세계 각국의 한국학 교육 기관 및 연구 기관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정규 과정 외에 1997년부터 전통식 한문 교육 기관인 청계서당(淸溪書堂)을 설치·운영하고 있으며, 외국인을 위한 한국 문화 학당도 매년 실시하고 있다.[2]

장서각 운영

장서각(藏書閣)고종 때 시작된 조선왕실의 도서관으로서 대한민국의 소중한 기록유산인 국가왕실문헌 및 민간사대부문헌을 관리·연구하는 도서관이자 학술 연구 기관이다. 조선왕실에서 소장하던 왕실자료를 비롯하여 군영자료(軍營資料), 한글소설류 등 10만여 책의 왕실도서와 전국에서 수집한 민간 고문헌 4만여 점을 소장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고전적의 정리·번역·해제 등의 연구 성과를 엮어 발간하여 한국학 글로벌 아카이브이자 학술연구기관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하고 있다.[3]

한국학 관련 사업

한국학 학술 정보화 사업은 한국학자료 및 학술정보를 디지털화하여 전문가 및 대중이 활용할 수 있도록 정보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하고 있다. 주요사업으로는 한국 역대인물 종합정보,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한국학 영문용어 용례사전 등이 있다.[4]
한국학 지식 콘텐츠 편찬 사업은 한국학 자료의 정보화를 통해 타 분야의 다양한 지식 및 창조적 생산기술과 융합하여 새로운 지식과 문화를 만들어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주요사업으로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편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편찬 등이 있다.[5]
한국문화교류사업은 한국학 및 한국 문화에 대한 재발견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다각적인 학술·문화 교류활동을 하고 있다, 해외 한국학을 지원하고, 국제학술회의를 개최하며, 교육 및 네트워크의 확장을 통해 한국학의 발전과 국가 이미지 제고에 기여하고 있다.[6]
한국 바로 알리기 사업은 외국 교과서에 서술된 한국의 이미지를 개선하여 한국에 대한 외국인의 인식을 제고하고, 한국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기 위한 사업이다.[7]

부설기구

부설기구인 한국학진흥사업단은 한국학선도연구지원, 한국학교육강화, 한국학인프라구축, 한국학대중화사업의 4개 사업군을 운영하고 있다.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사업지원을 통해 한국학연구수준을 높이고, 교육 및 인프라를 강화하며, 연구 성과를 대중화함으로써 세계와 소통하는 한국학으로 발전시키고 있다.[8]

주석

  1.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online.
  2. 박병련,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4년 09월 23일.
  3. 박병련,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4년 09월 23일.
  4. 박병련,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4년 09월 23일.
  5. 박병련,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4년 09월 23일.
  6. 박병련,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4년 09월 23일.
  7. 박병련,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4년 09월 23일.
  8. 박병련,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4년 09월 23일.